페르디난트 폰 린데만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페르디난트 폰 린데만은 독일의 수학자이다. 하노버에서 태어나 괴팅겐 대학교, 프리드리히 알렉산더 대학교, 뮌헨 대학교에서 수학을 공부했으며, 펠릭스 클라인 아래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. 뷔르츠부르크 대학교와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에서 교편을 잡았으며,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재직 중 원주율의 초월성을 증명했다. 쾨니히스베르크 대학교로 자리를 옮겨 다비트 힐베르트, 헤르만 민코프스키, 아르놀트 조머펠트 등을 제자로 길러냈고, 이후 뮌헨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. 1882년 원주율이 초월수임을 증명하는 논문을 발표했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- 1852년 출생 - 게오르크 옐리네크
게오르크 옐리네크는 독일의 법학자이자 법철학자로, 국가법인설과 국가의 자기구속설을 주장했으며, 그의 저서 《일반 국가론》과 《인권선언론》은 법학 및 정치학에 큰 영향을 미쳤고, 그의 사상은 일본의 천황기관설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. - 1852년 출생 - 데라우치 마사타케
데라우치 마사타케는 메이지 시대부터 다이쇼 시대까지 활동한 일본의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육군대신, 한국통감, 조선총독,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한국 병합을 주도하고 무단통치를 실시했으며, 시베리아 출병 등 외교 정책을 펼친 일본 제국주의 핵심 인물이다. - 뮌헨 대학교 동문 - 로베르트 미헬스
로베르트 미헬스는 사회학자이자 정치학자로, 과두제의 철칙(Iron Law of Oligarchy) 이론을 제시했으며, 정당의 관료화와 소수 엘리트 지배의 관계를 연구했다. - 뮌헨 대학교 동문 - 펠릭스 호프만
펠릭스 호프만은 바이엘사 연구원으로 아스피린과 헤로인을 합성한 독일 화학자이며, 특히 아스피린은 아르투어 아이헨그륀의 지휘 아래 합성되어 진통, 해열, 항염증제로 널리 쓰였으나, 아이헨그륀의 역할 축소 및 호프만의 공로 과장 논란이 존재한다. - 독일의 수학자 - 레기오몬타누스
레기오몬타누스는 15세기 독일의 천문학자이자 수학자로, 빈 대학교에서 수학과 천문학을 공부하고 이탈리아에서 연구하며 《알마게스트》 요약, 《삼각형에 대하여》 저술, 뉘른베르크 과학 출판 인쇄소 설립, 천문 관측 및 역법 개혁 기여, 천문표 제작 등으로 탐험가들에게 활용되었다. - 독일의 수학자 -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
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는 독일의 철학자, 수학자, 과학자, 외교관, 법학자, 도서관학자이자 언어학자로, 합리주의 철학을 대표하며 모나드론과 예정조화설을 주장했고, 미적분학을 독자적으로 발견하고 이진법을 체계화하는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 기여했다.
페르디난트 폰 린데만 - [인물]에 관한 문서 | |
---|---|
기본 정보 | |
![]() | |
이름 | 카를 루이스 페르디난트 폰 린데만 |
출생 | 1852년 4월 12일 |
출생지 | 독일 연방 하노버 |
사망 | 1939년 3월 6일 |
사망지 | 나치 독일 뮌헨 |
국적 | 독일 |
학문 분야 | |
분야 | 수학 |
소속 기관 | 뮌헨 대학교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|
출신 대학 | 프리드리히 알렉산더 대학교 에를랑겐-뉘른베르크 |
지도 교수 | 펠릭스 클라인 |
지도 학생 | 에밀 힐브 다비트 힐베르트 마르틴 쿠타 알프레트 뢰비 헤르만 민코프스키 오스카 페론 아르투어 로젠탈 아르놀트 조머펠트 하인리히 빌라이트너 |
주요 업적 | 원주율의 초월수 증명 린데만-바이어슈트라스 정리 |
2. 생애
린데만은 뷔르츠부르크 대학교와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. 1882년 프라이부르크에서 원주율의 초월성을 증명하였다.[4] 이후 쾨니히스베르크 대학교로 전임하여 다비트 힐베르트, 헤르만 민코프스키, 아르놀트 조머펠트 등을 가르쳤다.[5] 1939년 뮌헨 대학교에서 사망하였다.
2. 1. 초기 생애 및 교육
하노버 왕국의 수도였던 하노버에서 태어났다. 아버지 페르디난트 린데만(Ferdinand Lindemannde)은 김나지움 외국어 강사였으며, 어머니 에밀리 크루지우스(Emilie Crusiusde)는 김나지움 교장의 딸이었다. 린데만 가족은 곧 슈베린으로 이사하였다.린데만은 괴팅겐 대학교, 프리드리히 알렉산더 대학교, 뮌헨 대학교에서 수학을 공부하였다. 프리드리히 알렉산더 대학교에서는 펠릭스 클라인의 지도를 받아 비유클리드 기하학에 대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.[1]
2. 2. 교수 경력
프리드리히 알렉산더 대학교에서 펠릭스 클라인의 지도 아래 비유클리드 기하학에 대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.[1] 이후 뷔르츠부르크 대학교와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에서 강의했다.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재직 중이던 1882년에 원주율(πla)이 초월수임을 증명하였다 (린데만-바이어슈트라스 정리 참조).[4] 그 뒤 쾨니히스베르크 대학교로 자리를 옮겼으며, 여기서 다비트 힐베르트, 헤르만 민코프스키, 아르놀트 조머펠트 등 유명한 제자들을 배출하였다.[5][2] 이후 뮌헨 대학교로 옮겨 교수로 재직하였다.3. 원주율의 초월성 증명
1882년, 린데만은 자신의 가장 잘 알려진 업적인 원주율(π)의 초월성을 발표했다. 그의 방법은 9년 전 샤를 에르미트가 자연로그의 밑인 ela가 초월수임을 증명하는 데 사용한 방법과 유사했다. 린데만의 증명이 발표되기 전에 요한 하인리히 람베르트가 1760년대에 원주율(π)이 무리수임을 증명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.
참조
[1]
수학계보
[2]
웹사이트
Ferdinand von Lindemann - Biography
https://mathshistory[...]
2022-08-06
[3]
수학계보
[4]
저널
Ueber die Zahl π
1882-06
[5]
웹인용
Ferdinand von Lindemann - Biography
https://mathshistory[...]
2022-08-06
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
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